진단컨설팅
종합경영진단
근본적인 경영체질 개선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자사 고유진단 Kit을 활용, 경영 및 사업 분야 별 강약점을 진단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합니다
종합경영진단
Mind the Map Management Diagnosis Kit 활용, 경영 시스템 차원과 개별 기능 별 수준진단 및 이슈발굴을 위한 종합진단 실시
진단 이슈 별 BP사례 분석 및 적용
종합경영진단을 통해 강화 또는 개선필요 이슈에 대한 BP사례 분석과 기관 특성에 최적화 할 수 있는 방안 검토
진단 이슈 별 개선 방향 수립
진단 이슈 별 중요성과 실행가능성 검토를 통해 개선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개선추진을 위한 방향, 추진계획, 세부 Action Plan 수립
개선 계획 이행 지원
계획 및 세부 Action plan의 진척도모니터링을 통한 Rolling 지원과 정착을 위한 상시 온라인 자문 지원
고객 니즈 확인 및 경계 이슈 발굴
고객의 자문 니즈 영역 이슈에 대한 검토 및 이와 연계된 중대 경계(Boundary) 이슈 추가 발굴 실시
도출 이슈 심층 분석 및 개선과제도출
고객 이슈 및 경계 이슈 별 중요성과 고객 개선 니즈 반영한 필수 개선 사항 도출, 심층분석과 개선방향 및 과제 수립
이슈분야에 대한 1:1 개선 코칭
이슈 및 개선방향에 대한 기관 교육 및 개선 과제 추진 담당자 중심 1:1 형식의 방문 심층 코칭
개선 계획 수립 및 이행지원
개선 계획 실현의 타당성, 적정성, 실현가능성 측면의 검토 자문과 실질적 이행을 위한 상시 온라인 자문
경영혁신자문
고객이 직면한 경영 또는 사업 분야 내 특정 이슈에 대한 신속한 개선이 이루지도록 방문 코칭 형식의 Learn-sulting 자문서비스 제공 합니다
기능별 심층 컨설팅
전략기능
지속적인 경쟁우위 확보와 외부환경에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비전체계수립부터 신규사업발굴까지 전략 전반에 대한 컨설팅을 수행합니다
비전전략체계 수립
CEO 경영 철 학, 기업의 핵심 Identity를 기반으로 동종업계, 주요 선진사례를 검토하여 이해관계자 모두 공감가능한 체계적인 비전 체계 수립
Key Activity : 체계진단, Keywording Analysis, BM 분석, 이해관계자 Workshop
중장기 발전전략 수립
기업의 미션과 비전을 기반으로 현 전략체계에 대한 면밀한 점검, 전략적
우선순위 도출, 실행 로드맵 구축 등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전략수립
Key Activity : 과제 성과분석 및 우선순위 도출, FGI 및 워크숍, BM 분석
사업전략 수립
전략적 사업 단위에 대한 재무적/비재무적 분석 기반 전사적 사업 포트폴리오 관점의 사업 강화, 축소, 개선 이슈를 도출하고 개선 솔루션 제공
Key Activity : 단위 사업성과분석 및 우선순위 도출, FGI 및 워크숍, BM 분석
신규사업 발굴
경영환경, 시장, 고객 변화에 따른 사업 기회를 포착하고 재무/비재무적 차원의 사업평가와 BM 기반 타당한 신규사업 발굴 및 추진 계획 수립
Key Activity : BM 및 IDEA Pooling, 재무적/비재무적 사업타당성 분석, FGI 및 W/S
단위 전략 수립
사회적가치, 윤리경영 등 정부정책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전사전략과 연계된 단위 전략 체계 수립 또는 전사 전략체계 롤링
Key Activity : 전사전략과의 연계성 분석, 전략체계 재구조화, 세부 단위 과제 발굴
조직문화
구성원들의 직무만족, 몰입을 극대화 하고 지속적인 동기부여를 제공하는 문화조성을 위해 문화수준진단과 변화관리를 위한 액션플렌 수립
Key Activity : 조직문화진단 Survey, 구성원 심층인터뷰, 워크아웃타운미팅, W/S
조직설계
비전전략, 사업 및 기능 , 직제 등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기반으로 조직간 시너지와 기능간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단, 중기 조직구조를 설계
Key Activity : 사업/기능 적합성 분석, 업무프로세스 분석, T/O분석, 이해관계자 W/S
직무분석
체계적인 인적자원관리와 타 인사제도와의 연계 및 조직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세부 업무 및 역량분석을 통한 직 무분류체계와 기술서 작성
Key Activity : 업무분석 및 leveling, 필요역량 분석, 직무-Task간 / 인사제도 연계성 분석
적정인력산정
인적자원의 효용성 극대화를 위해 생산성, 사업 필요성 관점에서 거시~ 미시적 차원의 인력소요와 배치 필요성을 분석 검토하고 적정인력을 산정
Key Activity : 핵심동인 분석, 거시~미시적 인력산정. Gap Closing, 수요-배치분석
E.O.S기반 조직진단
Bottom-up방식의 내부 수요에 기반한 경영개선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직원만족도, 문화, 역량 등 기업 전사차원의 정기적 Survey 진단 서비스 제공
Key Activity ESI, OCR, 7SCP, MOS 실시, 개선필요영역 및 우선순위 도출,
조직인력 기능
전략실행과 내〮외부 환경 대응에 있어 내부 자원 활용의 효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조직문화, 조직 및 직무 설계와 인력산정 컨설팅을 제공합니다
인사제도
변화하는 정부정책(법령 및 제도 변경)에 대한 적극적 대응, 조직의 인력운영 효율성 확보 등을 위해 기관별 최적의 인사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컨설팅을 수행합니다.
근무평정 제도 구축
금전적(성과연봉, 성과급 등) 및 비금전적 보상제도(승진, 전보 등)에 연계 특성을 반영, 구성원의 수용도를 제고할 수 있는 기관 맞춤형 근평제도 구축
Key Activity : 근평제도 진단 및 현안이슈 분석, 평정체계 및 평가군, 조정계수 적용
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
좋은 일자리 창출이라는 정부정책 이행을 위한 정규직 전환시 적정 직무 및 직급(위) 배치, 전환인력의 승진 및 보수체계 설계 등 최적 운영방안 모색
Key Activity : 전환 기준 점검, 직급 및 직종체계 재설계, 보수설계(역전 현상 등 점검)
역량모델링
수직(직급 또는 직책) 및 수평(직무)적 관점에서 요구되는 역량모델을 도출하며,역량수준에 대한 체계적 진단을 위한 행동지표 및 점검체계 구축
Key Activity : 역량모델링 W/S, 역량지표 점검 체계 구축, 행동지표 개발
CDP설계
조직성과 창출을 위한 직무별 최적 역량을 보유한 인력을 배치하고 전문성을 축적할 수 있는 개인단위 경력개발 경로(승진, 육성교육 등) 개발
Key Activity : 인재상 정립, 역량개발방안, 표준경력 모델 개발, 핵심인재 관리방안
교대제 설계
조직 구성원의 건강 및 안전 향상과 인력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현장 중심의 교대제 및 운영방안을 설계
Key Activity : 최적 인력 기준 도출, 교대제 형태 별 Simulation, 운영비용비교
보상체계
보상수준, 구조, 항목 간 비중, 결정 요인 등에 대한 진단과 정부정책에 따른 보상구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기관 최적 보상전략 수립
Key Activity : 정부정책, 타 기관 BM, 기관 보상 현황 분석, 보상 Simulation
연봉제 설계
개인 능력 및 실적평가 기반 연봉 차등인상률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설계
Key Activity : 보수구조, 페이밴드 구조, 연봉 인상률 결정요인, 누적/비누적 차등인상
호봉제 설계
호봉테이블 분석 기반 적정 호봉승급분 도출 및 승급 기반 보상제도 설계
Key Activity : 호봉테이블 분석, 호봉승급분 재설계, 승진시 호봉매칭 방식 설계
직무급제 설계
순환보직을 운영하는 공공 특성을 반영, 직무가치 평가 기반 보수제도 설계
Key Activity : 직위 체계 분석, 직무 분석, 직무(가치)평가, 직무등급 도출, 직무급 설계
직능급제 설계
개인 능력수준에 대한 평가체계 구축 및 향상수준에 따른 보상제도 설계
Key Activity : 개인단위 능력 향상수준에 대한 평가 및 보상제도 설계
CDP설계
조직성과 창출을 위한 직무별 최적 역량을 보유한 인력을 배치하고 전문성을 축적할 수 있는 개인단위 경력개발 경로(승진, 육성교육 등) 개발
보수제도
전략실행과 내〮외부 환경 대응에 있어 내부 자원 활용의 효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조직문화, 조직 및 직무 설계와 인력산정 컨설팅을 제공합니다